×

Nós usamos os cookies para ajudar a melhorar o LingQ. Ao visitar o site, você concorda com a nossa política de cookies.

image

뉴스: 로씨야 소리 Voice of Russia, 행동하는 기후학

행동하는 기후학

싼크트 뻬쩨르부르그에서 APEC기후토론회가 개막되였습니다. 토론회는 《농업에서 결정을 채택하기 위해 기후정보를 터득하고 리용할데 대하여》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토론회에는 인디아, 중국, 한국, 로씨야, 미국,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온 100여명의 학자들이 참가하여 기후학자들이 식량안전보장에 이바지할수 있겠는가에 대하여 토의하고 있습니다.

기후가 변한다는것은 론할 여지가 없는 사실입니다. 그 과정이 지속될것도 명백합니다. 실례로 로씨야에서는 약 20년후에 당귤재배면적이 늘어나 밀밭면적이 줄어들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학자들은 주장합니다. 농업발전에서 기후는 원칙적인 의의를 가집니다. 과학의 임무는 기후변화를 장기적으로 예보하는 지침을 주는것입니다. 현재 과학과 농업생산자들의 호상관계는 《우둔한 질문과 무의미한 대답》의 원칙에 따라 수립되고 있다고 이번 토론회에 참가한 지구물리천문대 소장 울라지미르 까뜨쪼브는 주장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기후정보소비자들에게 유식한 질문을 제시할수 있는 교육수준이 모자라며 또 다른 경우에는 학자들의 대답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명백하지 못하다고 까뜨쪼브는 말합니다.

《실례로 학자들이 <당신네 지역에서 기온이 2도 올라갈것입니다>라고 말하면 소비자들은 <그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라고 물어봅니다. 바라지 않던 후과를 피하려면 얼마만한 돈이 필요합니까? 기후과학은 이와 관련한 대답을 줄수 없습니다. 경제적평가를 줄수 없기때문입니다. 옳은 방도는 기후정보소비자와 기후정보생산자들이 서로 련계를 가지는 체계를 창설하고 대화하는것입니다. 같은 수준에서 말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농업부문에서 피해정도를 예견하기 위해서는 특이한 현상들의 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까뜨쪼브는 말합니다.

《이것은 심중한 문제로서 투자, 작물교체와 련관되여 있습니다. 실례로 가물이 잦은 지역들에서는 가물에 잘 견디는 작물을 재배해야 합니다. 평균기온이 올라갈 지역들에서는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작물을 재배해야 할것입니다. 정치적결정을 채택하는 사람들, 지역의 발전, 부분적 발전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사람들이 전략적으로 이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2009년에 기후학자들은 세계적인 기후봉사체계를 창설할데 대한 결정을 채택했습니다. APEC기후토론회는 이런 체계를 창설하기 위한 토론마당으로 되여야 합니다. 제일 중요한것은 그 어떤 자연재해도 식량안전을 위협하지 못하도록 모든것을 다 하는것이라고 참가자들은 확신합니다.

Learn languages from TV shows, movies, news, articles and more! Try LingQ for FREE

행동하는 기후학 acting|climate science Klimatologie in Aktion 行動する気候学 Klimatologie in actie Klimatoloji iş başında Actionable Climate Science

싼크트 뻬쩨르부르그에서 APEC기후토론회가 개막되였습니다. Saint|Petersburg|APEC climate forum|has opened The APEC Climate Forum has opened in Saint Petersburg. 토론회는 《농업에서 결정을 채택하기 위해 기후정보를 터득하고 리용할데 대하여》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the forum|in agriculture|decisions|adopting|for|climate information|understanding|to utilize|||topic|will be held The forum is being held under the theme of "Acquiring and Utilizing Climate Information to Make Decisions in Agriculture."

토론회에는 인디아, 중국, 한국, 로씨야, 미국,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온 100여명의 학자들이 참가하여 기후학자들이 식량안전보장에 이바지할수 있겠는가에 대하여 토의하고 있습니다. in the forum|India|China|South Korea|Russia|United States|Japan|including|various|from countries|coming|over 100|scholars|participating|climate scientists|food security|contributing|will|about|discussing|are More than 100 scholars from various countries, including India, China, South Korea, Russi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on whether climate scientists can contribute to food security.

기후가 변한다는것은 론할 여지가 없는 사실입니다. climate|changing|to discuss|room|no|fact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climate is changing. 그 과정이 지속될것도 명백합니다. that|process|will continue|is clear It is also clear that this process will continue. 실례로 로씨야에서는 약 20년후에 당귤재배면적이 늘어나 밀밭면적이 줄어들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학자들은 주장합니다. for example|in Russia|about|20 years later|tangerine cultivation area|increasing|wheat field area|could decrease|existing|possibility|large|scholars|claim For example, scholars argue that in Russia, the area for tangerine cultivation is likely to increase while the area for wheat cultivation may decrease in about 20 years. 농업발전에서 기후는 원칙적인 의의를 가집니다. in agricultural development|climate|fundamental|significance|has Climate has a fundamental significance in agricultural development. 과학의 임무는 기후변화를 장기적으로 예보하는 지침을 주는것입니다. science|mission|climate change|in the long term|forecasting|guidelines|giving The mission of science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long-term forecasting of climate change. 현재 과학과 농업생산자들의 호상관계는 《우둔한 질문과 무의미한 대답》의 원칙에 따라 수립되고 있다고 이번 토론회에 참가한 지구물리천문대 소장 울라지미르 까뜨쪼브는 주장합니다. currently|science and|agricultural producers'|relationship|'Dumb|questions and|meaningless|||principle|according to|established|is|this|discussion|participating|geophysical observatory|director|Vladimir||claims Curr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agricultural producers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oolish questions and meaningless answers,' claims Vladimir Katshchov, director of the Geophysical Observatory, who participated in this discussion. 어떤 경우에는 기후정보소비자들에게 유식한 질문을 제시할수 있는 교육수준이 모자라며 또 다른 경우에는 학자들의 대답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명백하지 못하다고 까뜨쪼브는 말합니다. some|cases|climate information consumers|knowledgeable|questions|able to present|there is|education level|lacking|also|other|cases|scholars'|answers|excessively|abstract or|unclear|not|Katshchov|says In some cases, there is a lack of educational level to present informed questions to climate information consumers, and in other cases, scholars' answers are too abstract or unclear, says Katshchov.

《실례로 학자들이 <당신네 지역에서 기온이 2도 올라갈것입니다>라고 말하면 소비자들은 <그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라고 물어봅니다. 'for example|scholars|in your|region|temperature|2 degrees|||when|consumers|that|what||| For example, when scholars say, 'The temperature in your area will rise by 2 degrees,' consumers ask, 'What does that mean?' 바라지 않던 후과를 피하려면 얼마만한 돈이 필요합니까? not wanting|that had not|consequences|to avoid|how much|money|is necessary How much money is needed to avoid the unintended consequences? 기후과학은 이와 관련한 대답을 줄수 없습니다. climate science|this|related|answer|can give|does not Climate science cannot provide an answer related to this. 경제적평가를 줄수 없기때문입니다. economic evaluation|can give|because there is none This is because it cannot provide an economic evaluation. 옳은 방도는 기후정보소비자와 기후정보생산자들이 서로 련계를 가지는 체계를 창설하고 대화하는것입니다. right|way|climate information consumers and|climate information producers|each other|connection|having|system|establishing|is to converse The right approach is to establish a system where climate information consumers and climate information producers are connecte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같은 수준에서 말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same|at level|speaking|method|must learn|do We need to learn how to speak at the same level.

농업부문에서 피해정도를 예견하기 위해서는 특이한 현상들의 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까뜨쪼브는 말합니다. in the agricultural sector|extent of damage|predicting|in order to|unusual|phenomena|characteristics|must consider|says|Katshchov| Kattchov says that to predict the extent of damage in the agricultural sector, we must consider the growth of unusual phenomena.

《이것은 심중한 문제로서 투자, 작물교체와 련관되여 있습니다. this|serious|issue|investment|crop rotation|related to|is This is a serious issue related to investment and crop rotation. 실례로 가물이 잦은 지역들에서는 가물에 잘 견디는 작물을 재배해야 합니다. for example|drought|frequent|in areas|drought|well|enduring|crops|must cultivate|do For example, in areas prone to drought, we should cultivate crops that are resilient to drought. 평균기온이 올라갈 지역들에서는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작물을 재배해야 할것입니다. average temperature|rising|in regions|high|temperature|heat-loving|crops|must cultivate|do In areas where the average temperature is rising, crops that thrive in high temperatures should be cultivated. 정치적결정을 채택하는 사람들, 지역의 발전, 부분적 발전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사람들이 전략적으로 이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political decisions|adopting|people|region's|development|partial|development|regarding|plans|establishing|people|strategically|this|must consider|do Those who make political decisions, develop the region, and establish plans for partial development should strategically consider this.

2009년에 기후학자들은 세계적인 기후봉사체계를 창설할데 대한 결정을 채택했습니다. in 2009|climatologists|global|climate service system|to establish|regarding|decision|adopted In 2009, climatologists adopted a decision to establish a global climate service system. APEC기후토론회는 이런 체계를 창설하기 위한 토론마당으로 되여야 합니다. APEC climate forum|this|system|to establish|for|discussion platform|must become|do The APEC Climate Forum should serve as a discussion platform to create such a system. 제일 중요한것은 그 어떤 자연재해도 식량안전을 위협하지 못하도록 모든것을 다 하는것이라고 참가자들은 확신합니다. the most|important thing|that|any|natural disaster also|food security|threatening|in order not to|everything|all|doing thing|participants|are confiden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participants are confident that everything must be done to ensure that no natural disaster threatens food security.

PAR_TRANS:gpt-4o-mini=2.54 PAR_CWT:AuZloPbY=13.84 en:AuZloPbY openai.2025-02-07 ai_request(all=14 err=0.00%) translation(all=25 err=0.00%) cwt(all=243 err=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