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 use cookies to help make LingQ better. By visiting the site, you agree to our cookie policy.


image

작가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팟캐스트 (Reading Time podcast), Episode 19 - J. M. 쿳시 [추락] (John M. Coetzee) - Part 4

Episode 19 - J. M. 쿳시 [추락] (John M. Coetzee) - Part 4

네, 잘 들으셨습니까? 이 부분이 이 소설의 가장 앞부분인데요. 제가 조금 전에 균형 얘기를 말씀드렸지 않습니까? 토요일에 모든 것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근데 이것은 아주 단순한 계기죠. 자기랑 돈을 주고 매주 만나서 관계를 맺던 한 여자를 발견하게 되는 것인데요. 흑인이고 이슬람 교도인 어떤 여자인데요, 그냥 돈을 주고 관계를 맺는 어떤 그런 관계에서, 길에서 가족과 함께 지나가는 그녀를 발견함으로써 이 남자의 삶의 균형이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그뒤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책을 직접 읽어보시면 되겠는데요. 이 소설의 앞부분에 보면은 상당히.. 처음에 읽을 때는 도데체 무슨 생각에서 넣었는지 잘 알 수 없는 뭐 바이런 얘기라던가..그다음에 이 남자의 어떤..섹스라이프, 왜 나오는 건지.. 그다음에 이 사람의 여러가지 철학이라던가 이런거요. '적당한 만족감'들을 추구하는 사람인거죠. 하교에서도 그다지 눈에 띄는 사람이 아니고요. 하루하루를 아주 잘 조절해가면서 살고있던 사람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물론 결혼을 했고, 이혼을 두 번 했습니다만, 지금은 어쨌든 안정된 상태에 있다는 걸 보여주는데, 이것은 뒤에 이제 다가올 어떤 그의 인생의 파국에 비추어 볼 때 굉장히 의미심장한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게다가 이 사람이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친다는 거..그러면서 인간이 서로간에 커뮤니테이션이 가능하다고 믿는 것이 이 커뮤니케이션 학의 기본적인 출발점인데요. 이것에 대해서 이 사람이 굳이 따옴표를 써서 적어 놓습니다. '인간사회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과 의도를 서로에게 전달 할 수 있도록 언어를 만들어 냈다.' 그런데 주인공은 이것에 대해서 상당히 냉소적입니다. 언어라는 것은 그렇게 만들어진게 아니라 노래를 하다가 그것이 언어가 된 것이다라고 생각하고, 이 사람은 언어의 가능성을 믿지 않고 차라리 음악을 했으면..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인데요. 그러나 이렇게 생각하는 그의 믿음은 이 순간까지는 아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는 도저히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곧 직면하게 되죠. 이것이 인간을 흔듭니다. 제가 소설에서 좋아하는 장면은 이런 것이예요. 평온하던 한 인간의 삶이 그의 믿음, 가치, 신념..이런 것들이 통채로 흔들이는 순간 이것이 아주 흥미로운 순간 입니다. 우리는 이런 일을 겪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결국은 피할 수가 없죠. 한 번은 인생에서 이런 일들을 겪게 되는데 문학은 그런 것들을 미리 경험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대단히 가치있는 예술이라고 저는 생각을 하죠. 그래서 그런 것들을 소설가들은 미리 생각하고, 또 자신의 경험을 언어로 표현해서 소설에 써놓고 독자들은 그것들을 보면서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 과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미리 생각해 본다는 것이죠. 그래서 소설을 읽는 효과는 금방 나타나지 않습니다만 인생의 아주 중요한 순간에 몇 번의 결정을 현명하게 해줄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소설을 읽지 않은 사람보다 좋은 소설을 많이 읽은 사람들은 일상생활, 즉 이 남자처럼, 소설의 전반부 처럼 모든 것이 잘 컨트롤 되고 있을 때는 문학은 아무런 역할을 못 할지도 몰라요. 그러나 인생의 어떤 위기가 닥쳐왔을 때 과연 어떻게 움직여야되는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어떤 윤리를 갖고 살아가야 하는 가를 결정할 때는, 저는 반드시 그전에 한 인간이 읽었던 소설이 영향을 끼치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자 이 소설을 보면 또 생각나는 소설이 있는데요. 그것은 필립 로스의 [휴먼 스테인]이라는 소설입니다. 최근에 한 세계문학 전집에 일부로 우리나라에 번역돼서 왔는데요. 이게 재밌는 것은 여기에도 역시 대학 교수이다가 대학에서 축출당하게되는 사람이 등장한다는 것인데요. 이 사람 역시 흑인을 비하하는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공격을 받고 그만두게 됩니다. 이 사람 자신이 미국사회의 마이너리티라고 할 수 있는 유태인인데, 그리고 흑인을 비하할 뜻이 전혀 없었는데도 오해를 사서 그만 두게 되는데 이것이 아주 그 [추락]과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대학교수가 중요한 인물로 나오고, 이 나이든 대학교수들이 어떤 인종적 문제와 관련되서 대학으로부터 축출 당하고 그래서 삶의 균형이 무너지고 그것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그린다는 점에서.. 글쎄요.. 두 작가가 교감을 주고 받았는지, 아니면 우연의 일치인지 알 수 없습니다. 공교롭게도 두 작품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출간이 됐습니다. 그래서.. [추락] 같은 경우엔 아마 1999년에 나온 것으로 알고 있고요. [휴먼 스테인] 같은 경우는 2000년에 발간이 됐습니다. 재밌는 우연의일치가 아닐 수 없는데요. 그.. 대가 급의 작가들이기 때문에요, 이런 것은..저는 뭐.. 영향을 받았다기 보다는 일종의 어떤.. (좀 어려운 말로 하자만) 상호 주관성의 결과가 아닌가.. 이런 생각도 합니다. 하여간 이 두 작품을 비교해서 읽어보시는 것도 재미을 것 같습니다. 이 필립 로스의 [휴먼 스테인], 상당히 흥미로운 작품입니다. 앞부분에 약간 좀.. 세팅을 이해하고 그러는데 힘이들긴 하지만 거길 지나가면 흥미로운 인간형들이 출현하게 됩니다. 존 쿳시의 인간들이 좀 차갑달까요? 차갑고 좀 잘 자신을 통제하는 인물들이라면, 필립 로스의 인물들은 훨씬 좀 이야기 속의 인물들 같아요. 좀 격렬하고, 자기욕망에 충실하고.. 들끓죠. 이런 것들을 볼 수 있는데요. 두 작품을 비교해서 보시는 것도 흥미로운 독서 경험이되지 않을까 생각이듭니다. 자 오늘 이렇게 해서요 존 쿳시의 [추락 Disgrace]라는 소설을 가지고,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열아홉 번 째 에피소드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재밌게 들으셨는지 모르겠네요. 지금까지 김영하였습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Episode 19 - J. M. 쿳시 [추락] (John M. Coetzee) - Part 4 Episode 19 - J. M. Coetzee [The Fall] (John M. Coetzee) - Part 4

네, 잘 들으셨습니까? 이 부분이 이 소설의 가장 앞부분인데요. This is the very beginning of this novel. 제가 조금 전에 균형 얘기를 말씀드렸지 않습니까? Didn't I talk about balance a while ago? 토요일에 모든 것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근데 이것은 아주 단순한 계기죠. But this is a very simple trigger 자기랑 돈을 주고 매주 만나서 관계를 맺던 한 여자를 발견하게 되는 것인데요. She finds a woman who pays her and meets every week to have a relationship. 흑인이고 이슬람 교도인 어떤 여자인데요, 그냥 돈을 주고 관계를 맺는 어떤 그런 관계에서, 길에서 가족과 함께 지나가는 그녀를 발견함으로써 이 남자의 삶의 균형이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This is a black, Muslim woman, in some kind of relationship that just pays for money, and by finding her passing by with her family on the road, this man's life balance begins to crumble. 그뒤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책을 직접 읽어보시면 되겠는데요. You can read the book yourself to see what will happen after that. 이 소설의 앞부분에 보면은 상당히.. 처음에 읽을 때는 도데체 무슨 생각에서 넣었는지 잘 알 수 없는 뭐 바이런 얘기라던가..그다음에 이 남자의 어떤..섹스라이프, 왜 나오는 건지.. 그다음에 이 사람의 여러가지 철학이라던가 이런거요. At the beginning of this novel, it's quite... When I first read it, I don't know what he thought he put in, something about Byron... Then what kind of... Sex life, why is this guy coming out... Then this guy. Such as various philosophies. '적당한 만족감'들을 추구하는 사람인거죠. He is a person who pursues'decent satisfaction'. 하교에서도 그다지 눈에 띄는 사람이 아니고요. 하루하루를 아주 잘 조절해가면서 살고있던 사람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I think he was a person who was living in a very well controlled day by day. 물론 결혼을 했고, 이혼을 두 번 했습니다만, 지금은 어쨌든 안정된 상태에 있다는 걸 보여주는데, 이것은 뒤에 이제 다가올 어떤 그의 인생의 파국에 비추어 볼 때 굉장히 의미심장한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게다가 이 사람이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친다는 거..그러면서 인간이 서로간에 커뮤니테이션이 가능하다고 믿는 것이 이 커뮤니케이션 학의 기본적인 출발점인데요. Besides, that this person teaches communication...and believes that human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the basic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of communication. 이것에 대해서 이 사람이 굳이 따옴표를 써서 적어 놓습니다. '인간사회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과 의도를 서로에게 전달 할 수 있도록 언어를 만들어 냈다.' 'Human society has created language so that we can communicate our thoughts, feelings and intentions to each other.' 그런데 주인공은 이것에 대해서 상당히 냉소적입니다. But the protagonist is quite cynical about this. 언어라는 것은 그렇게 만들어진게 아니라 노래를 하다가 그것이 언어가 된 것이다라고 생각하고, 이 사람은 언어의 가능성을 믿지 않고 차라리 음악을 했으면..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인데요. 그러나 이렇게 생각하는 그의 믿음은 이 순간까지는 아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는 도저히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곧 직면하게 되죠. 이것이 인간을 흔듭니다. 제가 소설에서 좋아하는 장면은 이런 것이예요. My favorite scene in the novel is this. 평온하던 한 인간의 삶이 그의 믿음, 가치, 신념..이런 것들이 통채로 흔들이는 순간 이것이 아주 흥미로운 순간 입니다. This is a very interesting moment when a peaceful human life shakes his beliefs, values, and beliefs. 우리는 이런 일을 겪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결국은 피할 수가 없죠. 한 번은 인생에서 이런 일들을 겪게 되는데 문학은 그런 것들을 미리 경험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대단히 가치있는 예술이라고 저는 생각을 하죠. 그래서 그런 것들을 소설가들은 미리 생각하고, 또 자신의 경험을 언어로 표현해서 소설에 써놓고 독자들은 그것들을 보면서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 과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미리 생각해 본다는 것이죠. 그래서 소설을 읽는 효과는 금방 나타나지 않습니다만 인생의 아주 중요한 순간에 몇 번의 결정을 현명하게 해줄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소설을 읽지 않은 사람보다 좋은 소설을 많이 읽은 사람들은 일상생활, 즉 이 남자처럼, 소설의 전반부 처럼 모든 것이 잘 컨트롤 되고 있을 때는 문학은 아무런 역할을 못 할지도 몰라요. 그러나 인생의 어떤 위기가 닥쳐왔을 때 과연 어떻게 움직여야되는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어떤 윤리를 갖고 살아가야 하는 가를 결정할 때는, 저는 반드시 그전에 한 인간이 읽었던 소설이 영향을 끼치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자 이 소설을 보면 또 생각나는 소설이 있는데요. Now when I look at this novel, there is another novel that comes to mind. 그것은 필립 로스의 [휴먼 스테인]이라는 소설입니다. It's a novel by Phillip Ross called Human Stein. 최근에 한 세계문학 전집에 일부로 우리나라에 번역돼서 왔는데요. It was recently translated into Korea as part of a complete collection of world literature. 이게 재밌는 것은 여기에도 역시 대학 교수이다가 대학에서 축출당하게되는 사람이 등장한다는 것인데요. 이 사람 역시 흑인을 비하하는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공격을 받고 그만두게 됩니다. 이 사람 자신이 미국사회의 마이너리티라고 할 수 있는 유태인인데, 그리고 흑인을 비하할 뜻이 전혀 없었는데도 오해를 사서 그만 두게 되는데 이것이 아주 그 [추락]과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대학교수가 중요한 인물로 나오고, 이 나이든 대학교수들이 어떤 인종적 문제와 관련되서 대학으로부터 축출 당하고 그래서 삶의 균형이 무너지고 그것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그린다는 점에서.. 글쎄요.. 두 작가가 교감을 주고 받았는지, 아니면 우연의 일치인지 알 수 없습니다. 공교롭게도 두 작품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출간이 됐습니다. Unfortunately, both works were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그래서.. [추락] 같은 경우엔 아마 1999년에 나온 것으로 알고 있고요. So... In the case of [Crash], I know it was probably in 1999. [휴먼 스테인] 같은 경우는 2000년에 발간이 됐습니다. 재밌는 우연의일치가 아닐 수 없는데요. 그.. 대가 급의 작가들이기 때문에요, 이런 것은..저는 뭐.. 영향을 받았다기 보다는 일종의 어떤.. (좀 어려운 말로 하자만) 상호 주관성의 결과가 아닌가.. 이런 생각도 합니다. 하여간 이 두 작품을 비교해서 읽어보시는 것도 재미을 것 같습니다. 이 필립 로스의 [휴먼 스테인], 상당히 흥미로운 작품입니다. 앞부분에 약간 좀.. 세팅을 이해하고 그러는데 힘이들긴 하지만 거길 지나가면 흥미로운 인간형들이 출현하게 됩니다. 존 쿳시의 인간들이 좀 차갑달까요? 차갑고 좀 잘 자신을 통제하는 인물들이라면, 필립 로스의 인물들은 훨씬 좀 이야기 속의 인물들 같아요. 좀 격렬하고, 자기욕망에 충실하고.. 들끓죠. A little fierce, faithful to self-desire, and... 이런 것들을 볼 수 있는데요. 두 작품을 비교해서 보시는 것도 흥미로운 독서 경험이되지 않을까 생각이듭니다. 자 오늘 이렇게 해서요 존 쿳시의 [추락 Disgrace]라는 소설을 가지고,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열아홉 번 째 에피소드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재밌게 들으셨는지 모르겠네요. 지금까지 김영하였습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