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 use cookies to help make LingQ better. By visiting the site, you agree to our cookie policy.


image

생생경제, 1백년만에 새로운 주소 체계 도입

1백년만에 새로운 주소 체계 도입

이규상 : 안녕하십니까? <생생경제>에 이규상입니다. 이현주 : 안녕하세요? 이현줍니다. <생생경제>는 서울과 워싱턴을 연결해 우리 생활 속 생생한 경제 소식들을 전해드립니다. 이규상 : 새해 1월부터 남한에서 새로 바뀐 게 있습니다. 바로 주소인데요. 1백년 가까이 사용해 왔던 주소 체계가 완전히 바꿨습니다.

이현주 : 남한 정부는 새 주소 체계를 17년 동안 준비해왔다지만 남한 사람들, 아직 새 주소가 낯설고 혼란스럽습니다. 오늘 <생생 경제> 새로 바뀐 주소 소식으로 시작합니다. 이규상 : 인구 천만 이상이 살고 건물이 빼곡히 들어서 있는 서울에서 길을 찾는 일은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 사람들에게 길을 물어보면 ‘사거리 앞 약국 오른쪽 골목으로 들어가 몇 번째 집' 이런 식으로 길을 가르쳐 줍니다. 분명 집집마다 번지수가 있는데도 사람들은 특정 건물이나 이정표를 기준으로 길을 알려줍니다. 남한에 오래 산 사람들도 길을 찾기가 힘든데 외국인들이나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은 얼마나 혼란스러울까요?

이현주 : 사실 남쪽에선 주소만으로 건물이나 집을 찾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솔직히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남한의 주소 체계는 동과 리 그리고 번지수로 구분되어 왔는데요.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수많은 주택, 아파트, 건물이 들어섰고 그러면서 기존 행정구역을 쪼개고 새로 만들고, 경우에 따라서 합치기도 하면서 번지수는 그야말로 중구난방입니다.

이규상 : 그래도 이런 주소 체계가 거의 1백년 가까이 사용됐다고 하죠?

이현주 : 네, 맞습니다. 지금까지 남한에서 사용된 주소체계는 한일합방 직후 1918년에 일본이 수탈과 조세징수의 목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애초부터 인민 생활이나 길 찾기 쉽게 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주소 체계는 아니라는 얘긴데요.

그리고 이렇게 주소를 동, 리 그리고 번지수로 표시하는 국가는 남한과 일본뿐이라고 합니다. 남한 정부는 무려 17년 동안 4천억 원, 약 4억 달러의 예산을 들여서 새 주소 체계를 만들었고 2010년부터 두 가지 주소 체계를 병행 사용해 오다가 올해 1월 1일부터 토지 대장을 제외한 모든 문서, 특히 공공 기관 업무는 반드시 새 주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규상 : 굉장히 오랫동안 준비해온 남한 정부의 숙원 사업인 것 같은데요. 새주소 체계는 어떻게 바뀝니까?

이현주 : 번지수가 사라지고 길 이름과 번호로 대체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과거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01번지 - 3호'라고 했던 주소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건물번호 203번' 이런 식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규상 : 새로운 바뀐 남한의 주소는 미국의 주소 체계와 비슷하네요. 주 이름과 시 이름, 길 이름과 집 번호로 표시되기 때문에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곳도 길 이름과 집 번호만 알면 어디든 찾아갈 수 있도록 돼있습니다. 이번에 바뀐 남한의 주소체계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새로운 변화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이현주 : 사실, 준비 기간만 길었던 것이 아니라 홍보도 계속 했지만 백 년을 사용한 주소... 몸에 밴 습관 같은 거죠. 바뀔 때까지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필요는 하지만 혼란스럽다는 얘기가 대부분이고요. 어떤 사람들은 새 주소 때문에 소송까지 불사하고 있습니다.

이규상 : 맘에 안 든다는 얘기군요.

이현주 : 남쪽에서는 서울시 무슨 구 어떤 동 하면 알아주는 동네가 많습니다. 평양 부자동네 하면 창광거리... 이런 것과 비슷한 거죠. 조금 전 예를 들었던 강남구 대치동 하면 잘사는 사람도 많고, 학군도 좋아서 집값이 비싼 동네로 인식이 되어 왔는데 새 주소에선 대치동이라는 이름이 빠졌습니다. 또 남쪽 사람들은 망우리하면 공동묘지를 떠올리는데 의외로 또 이런 이름은 새 주소에 그대로 들어가기도 했고요. 당분간 크고 작은 소송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규상 : 반대로 새 주소를 반기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현주 : 남쪽은 음식이나 물건 등을 가정집까지 배달시키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배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길 찾기 쉬운 새 주소를 진작부터 사용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규상 : 어쨌든 새로운 주소 체계가 자리 잡으면 남한 사람들의 일상에도 많은 변화가 생길 것 같습니다.

이현주 : 남한 정부는 새 주소체계 도입으로 국민들의 편리뿐만 아니라 재난 관리와 응급 출동 봉사, 행정 능률 강화 등 연 4백억 달러의 사회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규상 : 나라 경영에도 도움이 되고 저 같은 길치에게도 아주 반가운 소식인 것 같습니다.

이규상 : 이번엔 현장으로 나가봅니다. 오늘은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이현주 : 사실 저도 아직 제 집의 새 주소를 못 외웠고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는데요. 이날 처음 써 봤습니다. 새 주소를 들고 서울 시내에서 건물을 한번 찾아봤습니다. 오늘도 평남 문덕 출신 김정순 선생과 함께 합니다.

««< 생략형으로 »»> INS - 현장음

기자 : 안녕하세요.

김정순 : 안녕하세요. 그래도 오늘 날씨가 많이 안 추워 다행이네...

기자 : 그러게요. 근데 눈이 와서 미끄러워요. 조심해서 다니셔야겠습니다. 선생님, 저희가 오늘 새 주소로 어디 건물을 하나 찾아볼까 하거든요? 남한의 주소 체계가 새로 바뀐 거 알고 계세요?

김정순 : 알죠. 새 집주소도 외웁니다. 우리야, 집 잊어 버릴까봐 먼저 외웠죠.

기자 : 옛 주소로도 집 찾으실 수 있어요. (웃음) 근데 남쪽과 북쪽, 주소 체계가 많이 틀리죠? 어떻습니까?

김정순 : 북쪽은 주소 찾기가 간단합니다. 그저 무슨 도, 무슨 시, 동, 반만 알면 찾아요. 군 같은 경우에도 무슨 리, 몇 작업반만 알면 바로 찾을 수 있고요. 근데 한 가지, 사람들에게 물으면 ‘저쪽으로 조금만 가라' 그러는데 그 저쪽이 족히 10리는 된다는 거죠. (웃음) 그거 빼고는 북쪽 주소는 찾기 헐합니다.

기자 : 선생님, 남쪽에 와서 주소 들고 집 찾아보신 적 있으세요?

김정순 : 많이 했죠. 우정 집 주소를 써가지고 다니면서 친구 집도 다니고 그랬는데 바쁘더란 말입니다. 여긴 번지 알아야죠, 아파트 이름, 동, 호수 다 알아야죠. 인구가 많아 그런지 모르겠는데 진짜 복잡해요. 북한식으로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복잡했습니다.

기자 : 네, 건물보다 특히 가정집 찾을 때 힘들죠. 번지수가 앞집은 1번지인데 그 옆집은 2백 번지고 종잡을 수가 없죠. (웃음)

김정순 : 네, 맞아요. 그렇더라고요. 그러니까 그 자리에서 뱅뱅 돌기 일쑤고...

기자 : 이렇게 얘기하다보니까 필요하긴 한 것 같은데요.

김정순 : 이제 거리, 도로 이름으로 주소가 바뀌었으니까 이건 이름만 들으면 사람들이 대강 어디인지 알 수 있지 않을까요?

기자 : 자, 이제 저희가 찾아갈 곳, 제가 써 왔는데요.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입니다. 거리에 보면 저렇게 주소판이 붙어 있습니다.

김정순 : 여기가 19길이니까 한참 올라가야겠네... (웃음) 근데 제가 텔레비전에서 봤는데 길 번호는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래요. 그걸 알고 찾으면 헐하겠죠?

기자 : 네, 새로 바뀐 주소는 그런 체계라고 들었습니다.

[이런 실정이니 남쪽에서 주소 적은 종이 들고 길 찾으면 그야말로 간첩이고요. 사실 복잡한 주소 때문에 불편한 건 남한사람들 뿐 아니라 외국 관광객 특히 탈북자들입니다. ]

김정순 : 그래요. 처음에 와서는 자기 집도 못 찾는 경우가 많아요. 하나원에서도 주소 얘기 많이 해주는데 처음에 나와서 자기 집 못 찾아서 한밤중에 하나원으로 전화하는 사람도 있다고 하면서 그런 얘기 많이 해주죠. (웃음)

기자 : 자본주의 사회라니까 이런 게 체계적으로 잘 돼있을 거다 생각하고 오시더라고요. 사실 좀 그런 예상은 빗나가죠.

김정순 : 그럼요. 빌딩도 다 이름이 다르고 가정집들도 생김새가 다 다르고, 인구도 워낙 많고요.

기자 : 북쪽보다 복잡한 건 사실입니다.

[민주주의 사회, 주소도 너무 민주주의적이었나요? 한참을 걸었는데 도대체 찾고 있는 길이 나오질 않습니다. 주변의 관광 안내소에 들러 길을 물었습니다.]

기자 : 지금 저희가 계속 걸어가는데 길이 나오질 않네요. 저기 들어가 한번 물어봐요. (문 열고 들어감) 새 주소명이 반영된 안내 지도가 있습니까? 안내원 : 아뇨, 아직 없습니다. (웃음)

[밖으로 나와서 빨간 잠바를 입고 길거리를 다니는 관광 안내원들에게 물었습니다. ]

기자 : 세종대로 99, 어딘지 아십니까?

안내원 : 주소로는 잘 모르고요.

기자 : 새주소 잘 모르세요?

안내원 : 아직은 잘 몰라요. 주소를 들고 길을 찾으면 인터넷으로 네이버 주소 같은 거 접속해서 찾아봐드리고요. 오히려 건물 이름을 알면 편해요.

기자 : 아직 새 주소는 안 외우셨나요?

안내원 : 네, 그런 지시는 아직 없었고요. 그리고 그런 건 지시 사항이 아니라 안내를 하기 위해서 숙지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면 저희도 알아서 공부를 합니다. (웃음)

기자 : 감사합니다...

[남한 정부 17년을 준비했고 본격적인 시행을 2년이나 늦췄다지만 상황은 이렇습니다. 그래서 새 주소를 만든 취지는 알겠는데 국민 홍보는 소홀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

시민 인터뷰 : 아직 잘 몰라요. 옛날 주소가 편하고... 필요는 하겠는데 그냥 사용했으면 좋겠어...

[전문가들은 새주소 체계가 자리 잡는데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데요. 그만큼 쉬운 일이 아니네요. 그러나 화폐조차 사전 통보 없이 하루아침에 바꿔버리는 북쪽에선 온 김정순 선생은 이런 상황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

기자 : 이거 불만인 사람 굉장히 많아요. (웃음)

김정순 : 근데요. 이거 외우라고 통보해준지 일 년 넘었어요.

기자 : 어, 선생님 잘 아시네요?

김정순 : 여기는 진짜 말이 너무 많습니다. 자유로 자기 하고픈 얘기 다 하니까...(웃음) 북한에는 그런 말을 못하죠. 위에서부터 하라면 해야죠. 당이 하라면 해야지 안 하면 정치적으로 걸리니까요. 그렇지만 여기야 볼 것이 어딨나요? 좀 정부에서 하라는대로 하면 좋겠는데....

[이런 저런 얘기를 하는 사이에 도착했습니다.]

김정순 : 저기 숫자 있네.

기자 : 99번이다.

김정순 : 다 찾아왔네요. 쉽게 찾았네.

기자 : 네, 제가 갖고 온 주소가 바로 덕수궁이었습니다!

김정순 : 두 번째 와 봐요.

INS - 현장음 : 수문장 교대식

[새해 새로 바뀐 주소 체계, 남한 정부가 기대하는 대로 수 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를 내려면 아직 더 많은 노력과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일단 백 년 만에 뗀 첫발이 남한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좀 더 보탬이 되는 방향으로 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김정순 : 사실 주소 바뀌는 것도 아주 작은 일 같지만 이런 일들이 모여 큰일이 되지 않습니까? 이런 데로부터 시작해서 살아가는데 불편한 것들이 바뀌고 그러면서 인민 생활이 좀 더 편안해지는 게 아닌가 싶어요. 분명 더 살기 좋은 사회로 가는 길이겠지요.

기자 : 네, 선생님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김정순 : 감사합니다.

이규상 : 오늘 새로 변경된 남한의 주소 체계를 얘기하다보니 생각나는 일이 있는데요. 2009년인가요? 서울에 갔는데 거리를 다니다 보니 사람들이 우측통행을 하더라고요. 지하철이나 공항과 같이 사람들이 많은 곳에는 모두 우측보행이라는 표가 붙어 있고 말이죠. 원래 좌측통행 아니었습니까?

이현주 : 맞습니다. 남쪽에서는 거의 88년 동안, 자동차는 우측통행, 사람은 좌측통행이었는데요. 2009년부터 우측통행으로 바꿨습니다. 이 좌측통행 역시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제도라고 합니다.

이규상 : 좌측통행에서 우측통행으로 바꿀 때도 분명 혼란이 있었을 텐데요. 하지만 우측통행을 실시함으로써 얻은 이익도 많다고 합니다. 마주 오는 차를 보행자가 정면으로 볼 수 있어 심리적 부담도 덜하고 보행자 교통사고도 20%나 줄어들었다고요. 인적, 심리적 피해비용을 비용으로 계산하면 한해 1억 달러 이상 줄어든 셈이라고 합니다.

이현주 : 보행 위치만 바뀌어도 1억 달러가 절약 된다니 정말 신기하네요.

이규상 : 이번에 실시되는 남한의 주소체계 변경도 이런 경제적 효과를 기대해봅니다.

이현주 : <생생경제> 오늘 준비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저희는 다음 주, 이 시간 새로운 소식과 함께 찾아오겠습니다.

이규상 : 지금까지 진행에 서울에서 이현주. 워싱턴에서 이규상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


1백년만에 새로운 주소 체계 도입 Introduced a new address system in 100 years

이규상 : 안녕하십니까? Gyusang Lee: How are you? <생생경제>에 이규상입니다. This is Gyu-sang Lee in <Live Economy>. 이현주 : 안녕하세요? 이현줍니다. <생생경제>는 서울과 워싱턴을 연결해 우리 생활 속 생생한 경제 소식들을 전해드립니다. 이규상 : 새해 1월부터 남한에서 새로 바뀐 게 있습니다. 바로 주소인데요. 1백년 가까이 사용해 왔던 주소 체계가 완전히 바꿨습니다.

이현주 : 남한 정부는 새 주소 체계를 17년 동안 준비해왔다지만 남한 사람들, 아직 새 주소가 낯설고 혼란스럽습니다. 오늘 <생생 경제> 새로 바뀐 주소 소식으로 시작합니다. 이규상 : 인구 천만 이상이 살고 건물이 빼곡히 들어서 있는 서울에서 길을 찾는 일은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 사람들에게 길을 물어보면 ‘사거리 앞 약국 오른쪽 골목으로 들어가 몇 번째 집' 이런 식으로 길을 가르쳐 줍니다. 분명 집집마다 번지수가 있는데도 사람들은 특정 건물이나 이정표를 기준으로 길을 알려줍니다. Obviously, every house has a street number, but people give directions based on specific buildings or milestones. 남한에 오래 산 사람들도 길을 찾기가 힘든데 외국인들이나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은 얼마나 혼란스러울까요?

이현주 : 사실 남쪽에선 주소만으로 건물이나 집을 찾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솔직히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남한의 주소 체계는 동과 리 그리고 번지수로 구분되어 왔는데요. So far, the address system in South Korea has been divided into dong, ri, and street numbers.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수많은 주택, 아파트, 건물이 들어섰고 그러면서 기존 행정구역을 쪼개고 새로 만들고, 경우에 따라서 합치기도 하면서 번지수는 그야말로 중구난방입니다.

이규상 : 그래도 이런 주소 체계가 거의 1백년 가까이 사용됐다고 하죠?

이현주 : 네, 맞습니다. 지금까지 남한에서 사용된 주소체계는 한일합방 직후 1918년에 일본이 수탈과 조세징수의 목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It is said that the address system used in South Korea so far was created by Japan in 1918 right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for the purpose of extortion and tax collection. 애초부터 인민 생활이나 길 찾기 쉽게 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주소 체계는 아니라는 얘긴데요. This is not to say that the address system was originally created for the purpose of making people's lives easier to find their way.

그리고 이렇게 주소를 동, 리 그리고 번지수로 표시하는 국가는 남한과 일본뿐이라고 합니다. 남한 정부는 무려 17년 동안 4천억 원, 약 4억 달러의 예산을 들여서 새 주소 체계를 만들었고 2010년부터 두 가지 주소 체계를 병행 사용해 오다가 올해 1월 1일부터 토지 대장을 제외한 모든 문서, 특히 공공 기관 업무는 반드시 새 주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규상 : 굉장히 오랫동안 준비해온 남한 정부의 숙원 사업인 것 같은데요. 새주소 체계는 어떻게 바뀝니까?

이현주 : 번지수가 사라지고 길 이름과 번호로 대체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과거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01번지 - 3호'라고 했던 주소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건물번호 203번' 이런 식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규상 : 새로운 바뀐 남한의 주소는 미국의 주소 체계와 비슷하네요. 주 이름과 시 이름, 길 이름과 집 번호로 표시되기 때문에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곳도 길 이름과 집 번호만 알면 어디든 찾아갈 수 있도록 돼있습니다. 이번에 바뀐 남한의 주소체계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I wonder if the changed address system in South Korea will be like that. 새로운 변화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이현주 : 사실, 준비 기간만 길었던 것이 아니라 홍보도 계속 했지만 백 년을 사용한 주소... 몸에 밴 습관 같은 거죠. 바뀔 때까지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필요는 하지만 혼란스럽다는 얘기가 대부분이고요. Most people say it is necessary but confusing. 어떤 사람들은 새 주소 때문에 소송까지 불사하고 있습니다.

이규상 : 맘에 안 든다는 얘기군요.

이현주 : 남쪽에서는 서울시 무슨 구 어떤 동 하면 알아주는 동네가 많습니다. 평양 부자동네 하면 창광거리... 이런 것과 비슷한 거죠. 조금 전 예를 들었던 강남구 대치동 하면 잘사는 사람도 많고, 학군도 좋아서 집값이 비싼 동네로 인식이 되어 왔는데 새 주소에선 대치동이라는 이름이 빠졌습니다. 또 남쪽 사람들은 망우리하면 공동묘지를 떠올리는데 의외로 또 이런 이름은 새 주소에 그대로 들어가기도 했고요. 당분간 크고 작은 소송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It seems that lawsuits large and small will continue for the time being.

이규상 : 반대로 새 주소를 반기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현주 : 남쪽은 음식이나 물건 등을 가정집까지 배달시키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배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길 찾기 쉬운 새 주소를 진작부터 사용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규상 : 어쨌든 새로운 주소 체계가 자리 잡으면 남한 사람들의 일상에도 많은 변화가 생길 것 같습니다.

이현주 : 남한 정부는 새 주소체계 도입으로 국민들의 편리뿐만 아니라 재난 관리와 응급 출동 봉사, 행정 능률 강화 등 연 4백억 달러의 사회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규상 : 나라 경영에도 도움이 되고 저 같은 길치에게도 아주 반가운 소식인 것 같습니다. Kyu-Sang Lee: It is helpful for the country's management and I think it is very welcome news for a guild like me.

이규상 : 이번엔 현장으로 나가봅니다. 오늘은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이현주 : 사실 저도 아직 제 집의 새 주소를 못 외웠고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는데요. 이날 처음 써 봤습니다. 새 주소를 들고 서울 시내에서 건물을 한번 찾아봤습니다. 오늘도 평남 문덕 출신 김정순 선생과 함께 합니다.

««< 생략형으로 »»> INS - 현장음 INS - field sound

기자 : 안녕하세요.

김정순 : 안녕하세요. 그래도 오늘 날씨가 많이 안 추워 다행이네...

기자 : 그러게요. 근데 눈이 와서 미끄러워요. 조심해서 다니셔야겠습니다. 선생님, 저희가 오늘 새 주소로 어디 건물을 하나 찾아볼까 하거든요? 남한의 주소 체계가 새로 바뀐 거 알고 계세요?

김정순 : 알죠. 새 집주소도 외웁니다. 우리야, 집 잊어 버릴까봐 먼저 외웠죠.

기자 : 옛 주소로도 집 찾으실 수 있어요. (웃음) 근데 남쪽과 북쪽, 주소 체계가 많이 틀리죠? 어떻습니까?

김정순 : 북쪽은 주소 찾기가 간단합니다. 그저 무슨 도, 무슨 시, 동, 반만 알면 찾아요. 군 같은 경우에도 무슨 리, 몇 작업반만 알면 바로 찾을 수 있고요. 근데 한 가지, 사람들에게 물으면 ‘저쪽으로 조금만 가라' 그러는데 그 저쪽이 족히 10리는 된다는 거죠. (웃음) 그거 빼고는 북쪽 주소는 찾기 헐합니다. (Laughs) Other than that, the North address is hard to find.

기자 : 선생님, 남쪽에 와서 주소 들고 집 찾아보신 적 있으세요?

김정순 : 많이 했죠. 우정 집 주소를 써가지고 다니면서 친구 집도 다니고 그랬는데 바쁘더란 말입니다. 여긴 번지 알아야죠, 아파트 이름, 동, 호수 다 알아야죠. 인구가 많아 그런지 모르겠는데 진짜 복잡해요. 북한식으로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복잡했습니다.

기자 : 네, 건물보다 특히 가정집 찾을 때 힘들죠. 번지수가 앞집은 1번지인데 그 옆집은 2백 번지고 종잡을 수가 없죠. The house in front of the house is number 1, but the house next door is number 200, and I can't figure it out. (웃음)

김정순 : 네, 맞아요. 그렇더라고요. 그러니까 그 자리에서 뱅뱅 돌기 일쑤고...

기자 : 이렇게 얘기하다보니까 필요하긴 한 것 같은데요.

김정순 : 이제 거리, 도로 이름으로 주소가 바뀌었으니까 이건 이름만 들으면 사람들이 대강 어디인지 알 수 있지 않을까요?

기자 : 자, 이제 저희가 찾아갈 곳, 제가 써 왔는데요.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입니다. 거리에 보면 저렇게 주소판이 붙어 있습니다.

김정순 : 여기가 19길이니까 한참 올라가야겠네... (웃음) 근데 제가 텔레비전에서 봤는데 길 번호는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래요. 그걸 알고 찾으면 헐하겠죠? If you know it and find it, you'll be blown away, right?

기자 : 네, 새로 바뀐 주소는 그런 체계라고 들었습니다.

[이런 실정이니 남쪽에서 주소 적은 종이 들고 길 찾으면 그야말로 간첩이고요. 사실 복잡한 주소 때문에 불편한 건 남한사람들 뿐 아니라 외국 관광객 특히 탈북자들입니다. ]

김정순 : 그래요. 처음에 와서는 자기 집도 못 찾는 경우가 많아요. When they first come, they often can't even find their own house. 하나원에서도 주소 얘기 많이 해주는데 처음에 나와서 자기 집 못 찾아서 한밤중에 하나원으로 전화하는 사람도 있다고 하면서 그런 얘기 많이 해주죠. Hanawon also talks about addresses a lot, but they say that there are people who call Hanawon in the middle of the night because they can't find their house when they come out. (웃음)

기자 : 자본주의 사회라니까 이런 게 체계적으로 잘 돼있을 거다 생각하고 오시더라고요. Reporter: Since it's a capitalist society, he came to me thinking that this would work out systematically. 사실 좀 그런 예상은 빗나가죠.

김정순 : 그럼요. 빌딩도 다 이름이 다르고 가정집들도 생김새가 다 다르고, 인구도 워낙 많고요.

기자 : 북쪽보다 복잡한 건 사실입니다.

[민주주의 사회, 주소도 너무 민주주의적이었나요? 한참을 걸었는데 도대체 찾고 있는 길이 나오질 않습니다. 주변의 관광 안내소에 들러 길을 물었습니다.]

기자 : 지금 저희가 계속 걸어가는데 길이 나오질 않네요. Reporter: Now we keep walking, but there is no way out. 저기 들어가 한번 물어봐요. (문 열고 들어감) 새 주소명이 반영된 안내 지도가 있습니까? 안내원 : 아뇨, 아직 없습니다. (웃음)

[밖으로 나와서 빨간 잠바를 입고 길거리를 다니는 관광 안내원들에게 물었습니다. ]

기자 : 세종대로 99, 어딘지 아십니까?

안내원 : 주소로는 잘 모르고요.

기자 : 새주소 잘 모르세요?

안내원 : 아직은 잘 몰라요. 주소를 들고 길을 찾으면 인터넷으로 네이버 주소 같은 거 접속해서 찾아봐드리고요. 오히려 건물 이름을 알면 편해요.

기자 : 아직 새 주소는 안 외우셨나요?

안내원 : 네, 그런 지시는 아직 없었고요. 그리고 그런 건 지시 사항이 아니라 안내를 하기 위해서 숙지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면 저희도 알아서 공부를 합니다. And if there is a need to familiarize yourself with it to provide guidance, not instructions, we study on our own. (웃음)

기자 : 감사합니다...

[남한 정부 17년을 준비했고 본격적인 시행을 2년이나 늦췄다지만 상황은 이렇습니다. 그래서 새 주소를 만든 취지는 알겠는데 국민 홍보는 소홀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

시민 인터뷰 : 아직 잘 몰라요. 옛날 주소가 편하고... 필요는 하겠는데 그냥 사용했으면 좋겠어...

[전문가들은 새주소 체계가 자리 잡는데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데요. 그만큼 쉬운 일이 아니네요. 그러나 화폐조차 사전 통보 없이 하루아침에 바꿔버리는 북쪽에선 온 김정순 선생은 이런 상황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 However, Kim Jeong-sun, who came from the North, where even currency is exchanged overnight without prior notice, cannot understand this situation. ]

기자 : 이거 불만인 사람 굉장히 많아요. (웃음)

김정순 : 근데요. 이거 외우라고 통보해준지 일 년 넘었어요.

기자 : 어, 선생님 잘 아시네요?

김정순 : 여기는 진짜 말이 너무 많습니다. 자유로 자기 하고픈 얘기 다 하니까...(웃음) 북한에는 그런 말을 못하죠. 위에서부터 하라면 해야죠. 당이 하라면 해야지 안 하면 정치적으로 걸리니까요. If the party wants it, it has to do it, and if it doesn't, it will be politically chaotic. 그렇지만 여기야 볼 것이 어딨나요? 좀 정부에서 하라는대로 하면 좋겠는데....

[이런 저런 얘기를 하는 사이에 도착했습니다.]

김정순 : 저기 숫자 있네.

기자 : 99번이다.

김정순 : 다 찾아왔네요. 쉽게 찾았네.

기자 : 네, 제가 갖고 온 주소가 바로 덕수궁이었습니다!

김정순 : 두 번째 와 봐요.

INS - 현장음 : 수문장 교대식 INS - Field Sound: Changing of the Guards Ceremony

[새해 새로 바뀐 주소 체계, 남한 정부가 기대하는 대로 수 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를 내려면 아직 더 많은 노력과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일단 백 년 만에 뗀 첫발이 남한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좀 더 보탬이 되는 방향으로 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The new address system in the new year, as expect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quires more effort and consideration to achieve the economic effect of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I wish to go to

김정순 : 사실 주소 바뀌는 것도 아주 작은 일 같지만 이런 일들이 모여 큰일이 되지 않습니까? Kim Jeong-soon: Actually, changing an address is a very small thing, but isn't it a big deal when all these things come together? 이런 데로부터 시작해서 살아가는데 불편한 것들이 바뀌고 그러면서 인민 생활이 좀 더 편안해지는 게 아닌가 싶어요. I think that starting from this, things that are inconvenient to live will change, and people's lives will become more comfortable. 분명 더 살기 좋은 사회로 가는 길이겠지요.

기자 : 네, 선생님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김정순 : 감사합니다.

이규상 : 오늘 새로 변경된 남한의 주소 체계를 얘기하다보니 생각나는 일이 있는데요. 2009년인가요? 서울에 갔는데 거리를 다니다 보니 사람들이 우측통행을 하더라고요. 지하철이나 공항과 같이 사람들이 많은 곳에는 모두 우측보행이라는 표가 붙어 있고 말이죠. 원래 좌측통행 아니었습니까?

이현주 : 맞습니다. 남쪽에서는 거의 88년 동안, 자동차는 우측통행, 사람은 좌측통행이었는데요. 2009년부터 우측통행으로 바꿨습니다. 이 좌측통행 역시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제도라고 합니다.

이규상 : 좌측통행에서 우측통행으로 바꿀 때도 분명 혼란이 있었을 텐데요. 하지만 우측통행을 실시함으로써 얻은 이익도 많다고 합니다. 마주 오는 차를 보행자가 정면으로 볼 수 있어 심리적 부담도 덜하고 보행자 교통사고도 20%나 줄어들었다고요. 인적, 심리적 피해비용을 비용으로 계산하면 한해 1억 달러 이상 줄어든 셈이라고 합니다.

이현주 : 보행 위치만 바뀌어도 1억 달러가 절약 된다니 정말 신기하네요.

이규상 : 이번에 실시되는 남한의 주소체계 변경도 이런 경제적 효과를 기대해봅니다.

이현주 : <생생경제> 오늘 준비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저희는 다음 주, 이 시간 새로운 소식과 함께 찾아오겠습니다.

이규상 : 지금까지 진행에 서울에서 이현주. 워싱턴에서 이규상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