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 use cookies to help make LingQ better. By visiting the site, you agree to our cookie policy.


image

김현희의 고백 (Kim Hyun-hee's confession), 남산 지하 조사실, 열 네 번째-145

남산 지하 조사실, 열 네 번째-145

[...]

남산 지하 조사실, 열 네 번째

귀국 후에는 꾸바에서 빵을 먹던 습관이 붙은 우리 식구들을 위해 나는 밥공장에 가서 밀가루와 쌀을 빵으로 바꾸어 오는 심부름을 도맡았다. 빵이라고 해야 그냥 밀가루를 쪄낸 것에 불과한 조잡한 것이었지만 간식이 많지 않은 북조선에서는 그것도 여간해서는 구해 먹기 힘들었다. 꼬리가 길게 늘어진 줄에 서서 마냥 차례를 기다려야만 했다. 내 차례가 거의 다 되어 가는데 접수에서 ‘빵이 다 떨어졌어. 낙케 오라' 하면 나는 울상이 되어 빈손으로 집에 돌아오는 일이 허다했다. 처음에는 ‘낙케'라는 말을 몰라서 어리둥절해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나중에 오래' 하고 일러주었다. 중학교에 진학하면서부터는 어머니의 집안 살림을 도맡아 도와드렸다. 아빠트 공동화장실 청소, 공동수도에서 물 긷는 일, 아빠트 복도까지 연탄을 날라 올리는 일, 깨진 연탄을 모았다가 연탄 찍는 손기계로 찍어내 말리는 일, 구멍탄 재 버리는 일, 김장, 빨래....하다못해 가구마다 할당된 인분 말리는 일까지 집안일은 해도 해도 끝이 없었다. 그 많은 일을 어머니 혼자 다 하기는 벅찼다. 어머니는 내가 부지런하고 날쌔서 심부름시킬 맛이 나지만 여자가 꼼꼼하지 못하고 너무 덜렁댄다고 항상 야단을 쳤다.

이렇게 어릴 때부터 어머니의 집안일을 돕고 살림 지도를 받다나니 지금도 집안 살림하는 데는 그리 빠지는 축이 아니라고 자부한다. 집안의 맏딸이 그래서 살림 밑천이라고 하는 게 아닌가. 그런 내 몸에 밴 습관이 여자수사관 눈에도 달리 보였던가 보다.

아침식사가 끝나자 곧바로 심문이 시작되었다. 어제 예상했던 내 추측이 맞은 것이다. 그뿐 아니라 잠을 설치며 궁리한 대로 이들은 나에게 알고 있는 조선말을 대보라고 했다.

“흑룡강성에서는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으니 어렸을 적에 조선족 친구들에게서 배운 말이 있을 게 아니겠어?”

어젯밤에 대책을 세워놓지 않았다면 몹시 당황할 뻔한 질문이었다. 나는 이 질문을 받고 혹시 방 안에 내 심리변화를 알아내는 기계장치가 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해서 방안을 유심히 둘러보았다. 겉보기에는 별다른 장치는 없는 것 같아 좀 안도가 되었다. 나는 수줍음을 많이 타는 처녀처럼 손으로 입을 가리고 어제 생각해 놓았던 조선어를 하나하나 말해 나갔다.

손을 들어 ‘소옹', 발을 가리키며 ‘바아알', 정강이를 쓰다듬으며 ‘달이' 하는 식으로 발음도 유독 외국인답게 해보였다. 거기에는 별 애로사항이 없었다. 바레인공항 사건 이후 단 한 번도 조선말을 쓰지 않아서인지 정말 꼬부라진 조선 말이 튀어나왔다. 나는 계속해서 고개를 숙이며, ‘안뇽하쎄요', 넓적다리를 꼬집는 시늉을 하며 ‘아쁘다', 배에 손을 대고 허리를 약간 구부리며 ‘고쁘다', 머리를 끄덕이면 ‘갠짠타',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으고 몸을 약간 흔들며 ‘조오타' 하고 말해 보였다. 이 세상 말 중에서 내가 가장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말. 바로 조선말. 일본어보다도 중국어보다도 잘 할 수 있는 그 조선말을 혀가 잘 돌아가지 않는 듯 반토막 발음을 하고 있자니 이상야릇한 기분이었다. 뭐라 말할 수 없는 비애가 느껴졌다.

수사관들은 내가 더듬더듬 조선말을 하는 모습을 유심히 관찰할 뿐 발음을 바로잡아주거나 하지도 않았고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도 않았다. 더 이상 조선말에 대해서는 묻질 않고 이번에는 영화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에는 영화관에서 종종 북조선 영화를 보여 준다는데 물론 본 적이 있겠지? 그 영화 제목을 말해봐.”

그들은 내가 조선 영화를 봤어야 당연하다는 식으로 단도직입적인 질문을 던졌다. 그렇게 물어오니까 못 봤다고 말하기가 곤란해졌다.

나레이션 : 대남공작원 김현희의 고백, 랑독에 박수현이였습니다.

남산 지하 조사실, 열 네 번째-145 Nanshan Underground Investigation Room, Vierzehnte-145 Nanshan Underground Investigation Room, Fourteenth-145 Комната подзем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ньшань, четырнадцатый-145

[...]

남산 지하 조사실, 열 네 번째

귀국 후에는 꾸바에서 빵을 먹던 습관이 붙은 우리 식구들을 위해 나는 밥공장에 가서 밀가루와 쌀을 빵으로 바꾸어 오는 심부름을 도맡았다. 빵이라고 해야 그냥 밀가루를 쪄낸 것에 불과한 조잡한 것이었지만 간식이 많지 않은 북조선에서는 그것도 여간해서는 구해 먹기 힘들었다. パンと言っても小麦粉を蒸しただけの粗末なものだったが、おやつがあまりない北朝鮮ではそれもなかなか手に入らない。 꼬리가 길게 늘어진 줄에 서서 마냥 차례를 기다려야만 했다. 長蛇の列に並んで、ただただ順番を待つしかなかった。 내 차례가 거의 다 되어 가는데 접수에서 ‘빵이 다 떨어졌어. 낙케 오라' 하면 나는 울상이 되어 빈손으로 집에 돌아오는 일이 허다했다. 처음에는 ‘낙케’라는 말을 몰라서 어리둥절해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나중에 오래' 하고 일러주었다. 最初は「ナッケ」という言葉を知らなくて戸惑っていると、他の人が「後で長く」と教えてくれました。 중학교에 진학하면서부터는 어머니의 집안 살림을 도맡아 도와드렸다. 中学校に進学してからは、母の家事を手伝うようになった。 아빠트 공동화장실 청소, 공동수도에서 물 긷는 일, 아빠트 복도까지 연탄을 날라 올리는 일, 깨진 연탄을 모았다가 연탄 찍는 손기계로 찍어내 말리는 일, 구멍탄 재 버리는 일, 김장, 빨래....하다못해 가구마다 할당된 인분 말리는 일까지 집안일은 해도 해도 끝이 없었다. アパートの共同トイレの掃除、共同水道から水をくみ上げる作業、アパートの廊下まで煉炭を運ぶ作業、割れた煉炭を集め、煉炭打抜き機で煉炭を打ち出し乾燥させる作業、穴の開いた煉炭の灰を捨てる作業、キムチ作り、洗濯....、さらには世帯ごとに割り当てられた分量を干す作業まで、家事はやってみてもやってみても終わらなかった。 그 많은 일을 어머니 혼자 다 하기는 벅찼다. その多くの仕事を母一人でこなすのは大変でした。 어머니는 내가 부지런하고 날쌔서 심부름시킬 맛이 나지만 여자가 꼼꼼하지 못하고 너무 덜렁댄다고 항상 야단을 쳤다. 母は、私が勤勉で機敏で用事をこなす味はあるのに、女が几帳面でなく、怠け者だといつも叱られた。

이렇게 어릴 때부터 어머니의 집안일을 돕고 살림 지도를 받다나니 지금도 집안 살림하는 데는 그리 빠지는 축이 아니라고 자부한다. このように幼い頃から母親の家事を手伝い、家事指導を受けていたので、今でも家事には欠かせない存在だと自負している。 집안의 맏딸이 그래서 살림 밑천이라고 하는 게 아닌가. 一家の長女だから家計を支えるということではないでしょうか。 그런 내 몸에 밴 습관이 여자수사관 눈에도 달리 보였던가 보다. そんな私の体についた習慣が、女性捜査官の目にも違って見えたのだろう。

아침식사가 끝나자 곧바로 심문이 시작되었다. 어제 예상했던 내 추측이 맞은 것이다. 昨日予想していた私の推測が当たったのだ。 그뿐 아니라 잠을 설치며 궁리한 대로 이들은 나에게 알고 있는 조선말을 대보라고 했다. それだけでなく、眠れずに考えた通り、彼らは私に知っている朝鮮語を言ってみろと言った。

“흑룡강성에서는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으니 어렸을 적에 조선족 친구들에게서 배운 말이 있을 게 아니겠어?” 「黒竜江省には朝鮮族がたくさん住んでいるから、子供の頃、朝鮮族の友達から習った言葉があるんじゃないか?"

어젯밤에 대책을 세워놓지 않았다면 몹시 당황할 뻔한 질문이었다. 昨夜、対策を立てていなかったら、とても困惑しそうな質問だった。 나는 이 질문을 받고 혹시 방 안에 내 심리변화를 알아내는 기계장치가 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해서 방안을 유심히 둘러보았다. 私はこの質問を受け、もしかして部屋の中に私の心理変化を把握する機械装置があるのではないかと思い、部屋を注意深く見回した。 겉보기에는 별다른 장치는 없는 것 같아 좀 안도가 되었다. 外見上は特に工夫はないようで、少し安心しました。 나는 수줍음을 많이 타는 처녀처럼 손으로 입을 가리고 어제 생각해 놓았던 조선어를 하나하나 말해 나갔다. 私は恥ずかしがり屋の乙女のように手で口を覆い、昨日考えていた朝鮮語を一つ一つ話していった。

손을 들어 ‘소옹', 발을 가리키며 ‘바아알', 정강이를 쓰다듬으며 ‘달이' 하는 식으로 발음도 유독 외국인답게 해보였다. 手を上げて「ソオン」、足を指差して「バアル」、すねを撫でて「ダルイ」など、発音も独特に外国人らしく見えた。 거기에는 별 애로사항이 없었다. そこには特に苦労はなかった。 바레인공항 사건 이후 단 한 번도 조선말을 쓰지 않아서인지 정말 꼬부라진 조선 말이 튀어나왔다. 나는 계속해서 고개를 숙이며, ‘안뇽하쎄요', 넓적다리를 꼬집는 시늉을 하며 ‘아쁘다', 배에 손을 대고 허리를 약간 구부리며 ‘고쁘다', 머리를 끄덕이면 ‘갠짠타',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으고 몸을 약간 흔들며 ‘조오타' 하고 말해 보였다. 私は続けて頭を下げて「アンニョンハセヨ」、太ももをつまむふりをして「痛い」、お腹に手を当てて腰を少し曲げて「痛い」、首をかしげると「ガンチャンタ」、両手を胸の前に合わせて体を少し振って「ジョオタ」と言った。 이 세상 말 중에서 내가 가장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말. この世の言葉の中で私が一番自信を持って言える言葉です。 바로 조선말. 일본어보다도 중국어보다도 잘 할 수 있는 그 조선말을 혀가 잘 돌아가지 않는 듯 반토막 발음을 하고 있자니 이상야릇한 기분이었다. 日本語よりも中国語よりも上手に話せるその朝鮮語を、舌がうまく回らないように半端な発音をしていると、不思議な気分になった。 뭐라 말할 수 없는 비애가 느껴졌다. 何とも言えない悲哀を感じた。

수사관들은 내가 더듬더듬 조선말을 하는 모습을 유심히 관찰할 뿐 발음을 바로잡아주거나 하지도 않았고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도 않았다. 捜査官たちは、私が吃音で朝鮮語を話す姿を注意深く観察するだけで、発音を矯正してくれたり、特別な反応を示すことはありませんでした。 더 이상 조선말에 대해서는 묻질 않고 이번에는 영화 이야기를 시작했다. もう朝鮮語については聞かず、今回は映画の話を始めた。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에는 영화관에서 종종 북조선 영화를 보여 준다는데 물론 본 적이 있겠지? 「朝鮮族が多く住んでいる地域では、映画館でよく北朝鮮の映画を上映するそうですが、もちろん見たことあるでしょ? 그 영화 제목을 말해봐.”

그들은 내가 조선 영화를 봤어야 당연하다는 식으로 단도직입적인 질문을 던졌다. 彼らは、私が朝鮮映画を見たはずだ、というようなストレートな質問を投げかけてきた。 그렇게 물어오니까 못 봤다고 말하기가 곤란해졌다. そう聞かれると、見てないと答えるのが難しくなった。

나레이션 : 대남공작원 김현희의 고백, 랑독에 박수현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