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Мы используем cookie-файлы, чтобы сделать работу LingQ лучше. Находясь на нашем сайте, вы соглашаетесь на наши правила обработки файлов «cookie».


image

연세 한국어 읽기 3, 7.2 실수에서 태어난 발명

7.2 실수에서 태어난 발명

우리는 살면서 많은 실수를 한다. 대부분의 실수는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준다. 그래서 사람들은 실수를 피하려고 한다. 하지만 모든 실수가 다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수는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가 되기도 한다.

1850년대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에서는 황금이 많이 나왔다. 그 소문을 들은 사람들은 황금을 캐기 위해서 전국에서 하루에도 수십 명씩 이곳을 찾아왔다. 갑자기 사람들이 몰려드니까 묵을 곳이 부족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천막을 치고 살기 시작했다. 천막에서 사는 사람들이 늘게 되었고, 그 때문에 천막을 사려는 사람들도 늘었다. 그 때 천막 천을 만들어서 돈을 많이 번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이 바로 리바이 스트라우스다. 스트라우스는 어느 날 군대에서 천막 천을 10만 개 만들어 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뜻밖에 큰돈을 벌 기회를 잡은 그는 너무 기뻤다. 직원들은 즐거운 마음으로 매일 열심히 일을 했다. 하지만 그 기쁨은 잠깐이었다. 염색하는 직원의 실수로 군대에서 주문한 녹색이 아닌 파란색으로 모두 염색했기 때문이다. 결국 스트라우스는 그 천들을 군대에 팔 수 없었다. 10만 개의 천은 모두 쓸모없는 것이 되어서 스트라우스는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절망에 빠져 일자리를 찾아 여기저기 돌아다니던 그는 우연히 광부들이 모여서 바지를 꿰매고 있는 것을 보았다. 광부들은 천이 약해서 쉽게 해지는 것을 불평하고 있었다. 그때 잘못 염색해서 창고에 쌓여 있는 파란색 천막 천들이그의 머릿속에 떠올랐다. 스트라우스는 질긴 천막 천으로 옷을 만들면 쉽게 구멍이 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바로 공장으로 달려가서 바지를 만들었다.

스트라우스는 천막 천으로 만든 바지를 먼저 몇 명의 광부들에게 입혀 봤다. 광부들은 질기고 튼튼한 이 바지를 아주 좋아했다. 그 모습을 보고 힘을 얻은 그는 남은 천을 모두 바지로 만들어서 광부들에게 팔기 시작했다. 바지는 광부들의 입에서 입으로 소문이 퍼져 날개 돋친 듯이 팔렸다. 바지에 관한 소문은 전국으로 퍼져 광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입기 시작했다. 스트라우스는 이 바지를 1873년에 블루진이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내놓았고, 지금은 남녀노소 모두 즐겨 입는 세계인의 옷이 되었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 그러나 실수를 성공으로 만드는 사람은 많지 않다. 스트라우스는 실수를 또 다른 기회로 이용했다. 그의 이런 생각의 전환이 청바지를 만든 것이다. 실수는 사실 실수가 아닐 수도 있다. 되돌릴 수 없는 실수를 해도 조금만 다르게 생각을 하면 그것이 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7.2 실수에서 태어난 발명 7.2 Aus Fehlern geborene Erfindungen 7.2 Inventions Born of Mistakes 7.2 Invenzioni nate da errori 7.2 失敗から生まれた発明 7.2 Винаходи, народжені з помилок 7.2 错误中诞生的发明

우리는 살면서 많은 실수를 한다. We make many mistakes in our lives. 私たちは生きていく中で多くの間違いを犯します。 대부분의 실수는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준다. Most mistakes hurt not only yourself, but also others. ほとんどの間違いは自分だけでなく、他の人にもダメージを与える。 그래서 사람들은 실수를 피하려고 한다. So people try to avoid mistakes. だから人々は間違いを避けようとする。 하지만 모든 실수가 다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But not all mistakes have bad consequences. しかし、すべての失敗が悪い結果をもたらすわけではありません。 어떤 실수는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가 되기도 한다. Some mistakes are another opportunity for us. ある種の失敗は、私たちにとって新たなチャンスになることもある。

1850년대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에서는 황금이 많이 나왔다. In the 1850s, in San Francisco, USA, a lot of gold came out. 1850年代のアメリカのサンフランシスコでは、黄金がたくさん出ました。 그 소문을 들은 사람들은 황금을 캐기 위해서 전국에서 하루에도 수십 명씩 이곳을 찾아왔다. People who heard the rumors visited this place every day from all over the country to dig gold. その噂を聞きつけた人々は、黄金を採掘するために、全国から一日にも数十人が訪れるようになった。 갑자기 사람들이 몰려드니까 묵을 곳이 부족했다. Suddenly people crowded, so there wasn't enough place to stay. 急に人が殺到し、泊まる場所が足りなくなった。 그래서 사람들은 천막을 치고 살기 시작했다. So people started living in tents. そこで人々はテントを張って暮らし始めました。 천막에서 사는 사람들이 늘게 되었고, 그 때문에 천막을 사려는 사람들도 늘었다. More and more people lived in tents, and because of that, more and more people wanted to buy tents. テントで生活する人が増え、そのためにテントを買おうとする人も増えた。 그 때 천막 천을 만들어서 돈을 많이 번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이 바로 리바이 스트라우스다. At that time, there was a man who made a lot of money by making tent cloth, and that person was Levi Strauss. その時、テントの布を作って大金を稼いだ人がいたのですが、その人がリバイ・ストラウスです。 스트라우스는 어느 날 군대에서 천막 천을 10만 개 만들어 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One day, Strauss received an order from the army to make 100,000 tents. シュトラウスはある日、軍隊から10万枚のテントの布を作るよう命令を受けた。 뜻밖에 큰돈을 벌 기회를 잡은 그는 너무 기뻤다. He was so happy that he had an unexpected chance to make a big money. 思いがけず大金を稼ぐチャンスをつかんだ彼はとても嬉しかった。 직원들은 즐거운 마음으로 매일 열심히 일을 했다. The employees worked hard every day with joy. 従業員は毎日楽しい気持ちで仕事に励んでいました。 하지만 그 기쁨은 잠깐이었다. But the joy was brief. 염색하는 직원의 실수로 군대에서 주문한 녹색이 아닌 파란색으로 모두 염색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dyeing staff's mistake made it all blue, not green ordered by the military. 染める職員のミスで、軍から注文された緑色ではなく、すべて青色に染めてしまったからです。 결국 스트라우스는 그 천들을 군대에 팔 수 없었다. Eventually, Strauss could not sell the cloth to the military. 結局、シュトラウスはその布を軍隊に売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 10만 개의 천은 모두 쓸모없는 것이 되어서 스트라우스는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All 100,000 pieces of fabric became obsolete, and Strauss lost everything overnight. 10万枚の布はすべて役に立たなくなり、シュトラウスは一朝一夕にすべてを失ってしまった。

절망에 빠져 일자리를 찾아 여기저기 돌아다니던 그는 우연히 광부들이 모여서 바지를 꿰매고 있는 것을 보았다. Desperately wandering around in search of work, he accidentally saw miners gathering together and sewing pants. 絶望に陥り、仕事を求めてあちこちを転々としていた彼は、偶然、鉱夫たちが集まってズボンを縫っているのを見ました。 광부들은 천이 약해서 쉽게 해지는 것을 불평하고 있었다. The miners were complaining that the fabric was so weak that it became easy. 鉱山労働者たちは、布が弱く、簡単に切れてしまうことを訴えていた。 그때 잘못 염색해서 창고에 쌓여 있는 파란색 천막 천들이그의 머릿속에 떠올랐다. At that time, blue tent cloths piled up in the warehouse after being dyed incorrectly came to his mind. その時、染め間違えて倉庫に積み上げられた青い天幕の布が彼の頭に浮かんだ。 스트라우스는 질긴 천막 천으로 옷을 만들면 쉽게 구멍이 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Strauss thought that making clothes out of tough tent cloth wouldn't make holes easily. ストラウスは、丈夫なテントの布で服を作れば簡単に穴が開かないだろうと考えた。 그는 바로 공장으로 달려가서 바지를 만들었다. He immediately ran to the factory and made pants. 彼はすぐに工場に駆けつけ、ズボンを作った。

스트라우스는 천막 천으로 만든 바지를 먼저 몇 명의 광부들에게 입혀 봤다. Strauss first tried trousers made of tent cloth on several miners. シュトラウスはまず、テント布で作ったズボンを数人の鉱山労働者に着せてみた。 광부들은 질기고 튼튼한 이 바지를 아주 좋아했다. The miners loved these tough and sturdy pants. 鉱山労働者たちは、丈夫で丈夫なこのズボンが大好きでした。 그 모습을 보고 힘을 얻은 그는 남은 천을 모두 바지로 만들어서 광부들에게 팔기 시작했다. Seeing that, he gained strength and started selling all the remaining fabric into pants and selling it to miners. その姿に勇気づけられた彼は、残った布をすべてズボンにして鉱山労働者に売り始めました。 바지는 광부들의 입에서 입으로 소문이 퍼져 날개 돋친 듯이 팔렸다. The pants were sold as if spread from the miners' mouth to mouth. パンツは鉱山労働者の口から口へと噂が広がり、飛ぶように売れた。 바지에 관한 소문은 전국으로 퍼져 광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입기 시작했다. Rumors about pants spread across the country, and not only miners but also ordinary people began to wear them. ズボンの噂は全国に広がり、鉱山労働者だけでなく一般人も着用するようになりました。 스트라우스는 이 바지를 1873년에 블루진이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내놓았고, 지금은 남녀노소 모두 즐겨 입는 세계인의 옷이 되었다. Strauss put these pants on the market in 1873 under the name Blue Jeans, and now it has become the world's favorite clothes for men and women of all ages. シュトラウスはこのパンツを1873年にブルージーンズという名前で市場に投入し、今では老若男女問わず、世界中で愛用されている服になりました。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 Everyone makes mistakes. 人は誰でも間違いを犯します。 그러나 실수를 성공으로 만드는 사람은 많지 않다. However, not many people make mistakes a success. しかし、失敗を成功に変える人は多くない。 스트라우스는 실수를 또 다른 기회로 이용했다. Strauss used his mistake as another opportunity. シュトラウスは失敗を別のチャンスとして利用した。 그의 이런 생각의 전환이 청바지를 만든 것이다. This shift in his thinking is what made jeans. 彼のこうした発想の転換がジーンズを生み出したのである。 실수는 사실 실수가 아닐 수도 있다. Mistakes may not actually be mistakes. 間違いは実は間違いではないかもしれない。 되돌릴 수 없는 실수를 해도 조금만 다르게 생각을 하면 그것이 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Even if you make an irreversible mistake, thinking a little differently can be a better chance.